
기획의 7단계 프로세스
페이지 정보

관련링크
본문
기획의 7단계 프로세스
기획에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방향 설정이다. 프레젠테이션의 과제를 명확히 하는 과정으로 가정 내 대소사를 예를 들면 집들이를 할 것인지,돌잔치를 할 것인지 정하는 아이템 선정의 단계라고 할 수 있다. 이처럼 기획의 배경,의도,목표를 알면 프레젠테이션에서 무슨 말로 설득할지 주제를 잡을 수 있다.
다음은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단계이다. 이를 테면 시장조사이자 잔치 준비를 위해 냉장고를 점검하고 장을 보는 단계이다. 이는 기획 초기 단계에서 방향 설정이 막연하다고 생각될 경우 기획 의도나 목표와 관련된 몇 가지 정보를 수집하고,기획의 대상이 되는 집단을 분석하는 과정이다. 이렇게 하면 어느 정도 윤곽이 잡혀 기본 개념을 설정할 수 있다.
자료 수집이 끝나면 이를 분류하고 분석할 차례다. 이는 요리 재료를 다듬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. 재료를 다듬고 나면 데치거나 삶는 자료 가공의 단계로 넘어간다. 차별화된 프레젠테이션을 위한 아이디어 발상 단계라고 할 수 있다.
이제 본격적인 요리 만들기에 해당하는 기획안 작성 단계이다. 이는 프레젠테이션의 내용 구성과 편집에 해당한다. 내용 구성은 큰 틀안에서 서론,본론,결론의 구조를 이루는 흐름을 만들어나가면 된다. 서론에는 개요 배경을,본론에는 구체적인 내용의 설명과 제안을,결론에는 기대 효과 등을 담는다. 이때 본론 역시 3단계 논리 전개법을 사용하면 효과적이다. 논리 전개 방식은 가장 큰 개념에서 시작해 작은 개념으로 논리를 세분해 나간다. 시각적인 요소를 가미하는 것도 이 부분에 해당한다.
기획안 작성이 완료되면 프레젠테이션을 준비하고 실행하는 단계가 남는다. 마지막 단계를 좀 더세분화하면 디지털 카메라,빔 프로젝터, OHP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프레젠테이션을 풍성하게 만드는 단계와 실제 현장에서 프레젠테이션을 실행하고 청중을 설득하는 단계로 나눌 수 있다. 동영상,사진 등 보여줄 게 많아야 청중을 설득하기 용이하다는 점을 연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.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